자료보기

중국지방지 내 한국사 문헌집성

해외한국학 씨앗형 사업 성과 공유 홈페이지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헌집성 범례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KSIWU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5-03-24 11:18

본문

 중국산동(山東) 지방지(地方誌) 한국사(韓國史) 관련사료(史料) 집성(輯成범례(凡例)

1. 아카이브 구축 배경

아카이브는한국 교육부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AKS-2020-ICN-2250002)의 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로조선사신의중국 문화공간 연구와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차후 산동성 이외 한국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중국 내 기타 성의 지방지로 자료수집 범위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2. 자료 출처 및 범위

2002년 산동성 지방사지판공실 통계에 따르면, 산동성에서 역대로 편찬된 지방지는 총925종이며, 그 중 현존하는 고대 및 근대 지방지(주대로부터 民國초반까지)는 총647(860종의 판본)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본 아카이브는 아래 세 가지 중국지방지 집성이나 총서를 대상으로 현대를 제외한 고대 및 근대 지방지(원대로부터 民國초반[1910년대]까지)를 대상으로 검색·추출·정리되었으며 총 634 종의 사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실상 현존하는 모든 산동성 현대 이전(1910년대 이전) 지방지 사료를 전수 조사하여 정리한 것과 다름이 없으며, 여기에  『산동문헌집성(山東文獻集成)(1~4)에 포함된 산동성 출신 문인들의 개인문집류 자료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자료를 보완하였습니다.

『중국방지총서(中國方志叢書)•산동(山東)

『중국지방지집성(中國地方誌集成)•산동부현지집(山東府縣誌輯)

『산동성역대방지집성(山東省歷代方志集成)

본 연구에 사용된 634종의 지방지에 구체적으로 아래 문헌들이 포함됩니다.

성지(省志) 19, 제남시(濟南市) 39 , 청도시(青島市) 35 / 치박시(淄博市) 38 ,  유방시(濰坊市) 58 , 연태시(煙台市) 71, 덕주시(德州市) 71, 위해시(威海市): 12, 태안시(泰安市) 46, 제녕시(濟寧市) 58, 료성시(聊城市) 76, 임기시(臨沂市, 일조시日照市 포함) 25, 빈주시(濱州市) 48, 조장시(棗莊市) 14,  하택시(菏澤市  40

3. 키워드선정방법범주

키워드 선정 기준

한국사 자료를 빠짐없이 수집하기 위하여, 한국의 역사적 사건, 제도, 풍습, 인명, 지명 등의 표준 명칭 외에데 다양한 별칭(別稱)과 중국 측 기록 관행상 사용된 호칭(“三韓”, “高麗”, “濊貊)등도 모두 키워드로 포함시켰고 이 과정에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 기존 한국사 관련 사료와 한국사 관련 DB의 목록, 색인, 키워드를 폭넓게 참고하여 키워드를 선정·추출하였습니다.

키워드 범주와 예

키워드의 추출 범위는 15개로 나눌 수 있고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 역대 왕조 및 국가명 -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국, 고려, 조선 등

2)한국 역대 왕조의 군주, 왕족 이름 - 조선 세종, 조선 인조, 조선 성종 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