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보기

중국지방지 내 한국사 문헌집성

해외한국학 씨앗형 사업 성과 공유 홈페이지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헌집성 범례2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KSIWU
댓글 0건 조회 43회 작성일 25-03-24 11:24

본문

3)한반도 물산, 풍속, 언어습관, 신앙, 종교 등 - 동맹(東盟), 누신(襚神), 맥궁(貊弓), 무천(舞天), 과하마(果下馬), 천군(天君), 소도(蘇塗), 부여신(夫餘神)

4) 한반도 관련 중국 지명, 민족, 국가 명칭 - 갈석(碣石), 유주(幽州), 요서군(遼西郡), 요동군(遼東郡), 양평(襄平)

5) 한국 역대 왕조의 관직 및 직함 - 판서(判書),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예조참의(禮曹參議)

6) 한중 외교 및 교류 관련 용어 - 공사(公使), 견사(遣使), 접반사(接伴使), 동양위사(東洋委使)

7)《조선왕조실록》에 자주 등장하는 인명(상위 100)

8) 정치, 제도 - 가덕대부(嘉德大夫), 가례도감(嘉禮都監), 사간원(司諫院), 가갑개혁(甲午改革)

9) 사회, 경제 - 결전(結錢), 가경전(加耕田), 곽염법(榷鹽法), 간종법(畎種法)

10) 종교, 사상, 교육 - 마곡사(麻穀寺), 만권당(萬卷堂), 북두칠성숭배(北斗七星崇拜),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1) 어문학 - 가람시조집(嘉藍時調集), 강호가도(江湖歌道), 강호별곡(江湖別曲)

12) 문화, 예술 - 가야금(伽倻琴), 고려악(高麗樂), 고려대장경판각(高麗大藏經板刻)

13) 과학, 기술 - 거북선(龜船), 누각(漏刻), 대통력(大統曆), 맹선(猛船), 방패선(防牌船)

14) 서지학 - 가락국기(駕洛國記), 가례고증(家禮考證), 간언구감(諫言龜鑑)

15) 중국 정사에 자세히 기록되지 않은 중원왕조와 한반도 왕조 교류 인물 산동래주부액현(山東萊州府掖縣) 출신 한초명(韓初命), 산동제남부치천현(山東濟南府淄川縣) 출신 한취선(韓取善)

4. 한국사관련사료추출절차와방법

1) 정리된 키워드 목록을 토대로 순차적으로 각 지방지의 본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검색을 시행함.

2) 해당 키워드가 등장하는 본문을 발췌한 뒤, 전후 맥락을 검토하여 해당 구절이 실제 한국사와 연관이 있는지 검증한 후에 확정함.

3)외견상 한국사와 무관해 보이는 복잡한 사료(: 《陽宅十書》)라도 해당 본문에 이와 연계하여 한국사와 관련 사실들이 언급되었다면 한국사 연구에 필요한 사료로 간주하고 아카이브에 포함시킴.

3)같은 키워드이지만, 시대 혹은 판본 차이로 한자 표기가 다른 경우, 교차 대조하여 하나의 키워드로 정리하고, 필요시 시대나 판본 차이로 표기가 다른 한자(漢字) 표기 모두를 함께 병기처리함.

4) 발췌 후 분류 단계에서, 같은 방지 내 혹은 다른 방지에 동일 내용이 중복하여 나타나면 병합처리함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 본문의 맥락에 따라 구체적인 정보가 달리 해석되거나 추가적인 정보 혹은 다른 정보가 나타나면 모두 별도 항목으로 따로 처리함. 키워드 중복 표시가 필요할 경우에는 각 키워드에 중복 문헌 정보를 함께 적시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