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집성 범례3
페이지 정보

본문
5. 최종데이터정리
1) 최종 추출된 데이터는 명,청 시기 행정구역을 쫓아 산동성지(山東省志), 등주부지(登州府志), 래주부지(萊州府志), 청주부지(靑州府志), 제남부지(濟南府志), 동창부지(東昌府志), 연주부지(兖州府志) 기타 순서로 나열함.
2) 동일 행정구역(예:등주부지) 내에서 발췌된 기록은 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중국 지방지의 일반적인 주제별 목차 쫓아 나열함.
도지(圖志)•건치연혁(建置沿革)
성지(城池)•관청(官署) 등 행정지리
산천(山川)지리 및 관련 정보
풍속(風俗)•형세(形勢)
토산(土産)•공부(貢賦)•세량(稅糧) 등 경제 정보
학교(學校)•과거(科擧)•예악제도(禮樂制度)
군사(軍事)•해방(海防) 등 방어 관련 정보
역사적 인물(人物) 정보(성현(聖賢), 충의(忠義) 인물 등)
예문(藝文): 금석문(金石文), 시(詩), 기자(記子), 의론(議論) 등
재해(災害) 정보 등 기타 기록
3) 각 사료 항목에는 출처(사료명 및 권수, 편목 등출처 “○○府志卷××, 明 ○○年刻本”) 와 기록 시기 등을 명확히 기재하여 이용자가 1차 자료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
*본 범례에 관한 더욱 자세한 정보와 산동 지방지에서 추출된 한국사 관련 사료에 관한 본격적인 분석은, 차후 별도의 연구논문으로 출간될 예정임.
- 이전글1 山东省省志와 登州府 지방지 내 한국사 문헌집성 25.03.24
- 다음글문헌집성 범례2 25.03.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